급식시설 보다 학습시설 통한 교차감염 더 높아
급식시설 보다 학습시설 통한 교차감염 더 높아
  • 이의경 기자
  • 승인 2014.12.05 16: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급식소 내 물컵 보관상태 따라 미생물학적 위해성 편차 높아

■ 대학 구내 시설물과 급식소 집기의 접촉에 의한 미생물학적 위해성의 정량비교


연구자 조영근 교수 (경성대학교 생물학과)


본 연구는 대학교정에서 주된 관리대상으로 간주하지 않는 다중이용시설과 집기의 위해도와 집단급식소의 집기 접촉 위해도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했다. 총대장균군은 급식소 위생상태를 파악할 때 주로 관리되는 지표로 급식소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노출량을 가늠해볼 수 있다.

이번 연구대상은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학생 100명이 대학 3개 건물 내에 강의실, 화장실, 승강기버튼 등 손 접촉이 가능한 72개 물품의 표면에서 총대장균군을 조사했다. 이중 2개 건물의 승강기 버튼 13개에서 총대장균군이 검출됐다. 또한, 구내 2곳의 집단급식소 내 물컵, 수저, 탁자 등 18개 물품을 조사한 결과 1개 급식소의 물컵 8개, 식탁 1개에서 총대장균군이 검출됐다.

총대장균군은 급식소 더 높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생들은 급식소 외의 활동공간으로 강의실과 도서관을 공통으로 이용한 결과 급식소의 물품 표면을 통해 약 1.0 CFU/day로 총대장균군에 노출됐고 급식소 외의 시설에서는 절반 정도의 노출량을 보였다.

그러나 급식소 외 이용시설의 미생물학적 위해성은 급식소보다 낮았으나 ▲두 종류 시설에서 측정된 노출량이 평균 2배 정도 차이 ▲평균값의 신뢰구간이 매우 근접 ▲학생 절반 이상에서 학습시설이 급식소 이용 때보다 노출량이 더 높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즉 학습시설도 급식소와 유사한 수준의 관리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인별로는 70% 학생들에게 급식소보다 학습시설의 미생물학적 위해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급식소를 이용하는 학생은 27%였다. 즉 대다수 학생이 사용하는 학습시설의 경우 적은 노출량이라도 많은 수의 학생들에게 광범위하게 병원체가 전파되는 감염경로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약 70%에 이르는 학생들에게는 급식소보다 높은 누적 노출량과 위해도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학생 70% 교차 감염 노출
검출된 세균을 분석한 결과 학생급식소의 식탁표면에 대표적 기회성 폐렴병원균인 K.pneumoniae가 존재했다. 학생급식소 물컵 표면에는 L.adecarboxylata가 주된 총대장균군 세균으로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단독 감염원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급식소의 총대장균군은 환경과 인체 모두에서 유래하는 기회성병원균 이었다. 승강기에는 엔테로박터종(Enterobacter)이 많고 Hafnia alvei-paraalvei species complex, K. variicola가 일부 분포했는데 임상적 시료에서 드물게 발견되고 주로 토양과 식물체 등에서 발견되는 총대장균군이다.

특히 K. variicola는 식물체에 서식하는 특화된 생태를 보이지만 K. pneumoniae와 계통적 친연성이 가장 높은 종이므로 환경 서식종이면서 동시에 임상적 현상과 연관될 수 있는 기회성 병원성을 띤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급식소와 기타 교정구내 환경의 총대장균군 모두 자연환경에서 발견되는 기회적 병원성을 지닌 종들로 환경에서 지속 생존성이 높으면서 인체 병원성 세균과 높은 친연성 있는 세균종들이었다. 또한, 교차오염 노출 경로를 확인한 결과 승강기 및 학습시설의 세균에 대한 노출량은 0.5 CFU/day로 집단급식소에 비치된 물품 접촉에 의한 평균 노출량 약 1.0 CFU/day의 절반이었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 중 급식소를 이용하는 학생은 27%에 불과해 70%의 학생들은 급식시설보다 학습시설의 인체 접촉면에서 교차감염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시설 주기적 위생관리 시급
대학 구내 학습시설과 집기들은 다수 사람이 이용한다는 점에서 그 표면은 감염성 병원체의 교차감염 경로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를 비롯한 일부 학습 및 학습지원 시설의 인체 접촉면은 급식소와 마찬가지로 주기적 위생관리가 있어야 한다.

또한, 계절적으로 변동하는 교차 감염 가능 병원체의 종류에 부합하도록 인체 접촉면 위생관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즉 건조표면 생존도가 높은 병원체를 대상으로 전체 위해도의 면밀한 조사를 통해 앞으로 대학 교정에서 필요한 물품 위생관리의 지표와 관리기준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