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후 여성 4명 중 1명, 혈중 '수은' 중독 수준
폐경 후 여성 4명 중 1명, 혈중 '수은' 중독 수준
  • 정지미 기자
  • 승인 2017.10.17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덕여대 양윤정 교수팀, 여성 약 1900명 조사

폐경 후 여성 4명 중 1명의 혈중 수은 농도가 중독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폐경 후 여성이 중금속에 노출되지 않도록 더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17일 동덕여대 식품영양학과 양윤정 교수팀이 보건복지부의 제5기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초경 후 여자 청소년(268명, 평균연령 15.3세), 폐경 전 여성(1157명, 평균연령 34.1세), 폐경 후 여성(446명, 평균연령 56.3세) 등 여성 1871명의 철 영양상태와 혈중 중금속 농도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여성의 철 결핍(40 ㎍/㎗ 미만) 비율은 청소년 8.3%, 폐경 전 9.8%, 폐경 후 1.4%로 폐경 전 여성이 가장 높았다. 폐경 전 여성은 헤모글로빈과 혈중 페리틴 농도에서도 세 연령대 중 최저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초경 후 청소년보다 철 섭취량이 많은 폐경 전 여성의 철 영양상태가 가장 나쁜 것은 철 흡수를 방해하는 차ㆍ커피ㆍ술의 섭취빈도가 청소년 보다 많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여성의 혈중 납ㆍ수은ㆍ카드뮴 등 중금속 농도는 폐경 후 여성에서 최고치였고 혈중 1ℓ당 5㎍ 이상인 수은 중독 비율도 폐경 후 여성이 24.6%로 가장 높았다. 폐경 후 여성 4명 중 1명의 혈중 수은 농도가 중독 상태란 의미다.

연구팀은 "수은 중독 비율이 많이 나타난 것은 최근 환경부 자료에서 나왔듯 한국 성인이 매일 섭취하는 수은의 양은 18㎍으로 납ㆍ카드뮴 등 다른 중금속보다 노출이 쉽다는 것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다"며 "폐경 후 여성의 24.6%가 수은 중독이란 결과는 중년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은 중독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혈중 카드뮴 농도가 1ℓ당 5㎍ 이상인 카드뮴 중독은 폐경 후 여성에서 1명이 있었고 혈중 납 농도가 1ℓ당 10㎍ 이상인 납 중독은 1명도 없었다. 이는 우리나라 여성에서 납ㆍ카드뮴은 수은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출과 체내 축적 상태가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의 철 영양 상태는 혈중 중금속 농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팀은 "초경 후 청소년은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며 "폐경 전 여성도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으나 혈중 납 농도ㆍ혈중 수은 농도는 낮았다"고 지적했다.

폐경 후 여성은 철 영양 상태가 좋을수록 혈중 납 농도는 낮았고 혈중 수은 농도ㆍ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다.

어떤 식품을 즐겨 먹느냐도 여성의 혈중 중금속 농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초경 후 청소년의 경우 우유ㆍ유제품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납 농도가 낮았다. 생선과 어패류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

폐경 전 여성은 콩류ㆍ육류ㆍ계란ㆍ과일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납 농도가 낮았다. 생선ㆍ어패류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수은 농도가 높았다. 폐경 후 여성에선 패스트푸드ㆍ튀긴 음식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납 농도가 낮았다.

이번 연구결과(한국 여자 청소년과 성인 여성의 혈청 철 영양상태 및 식품 섭취와 혈중 중금속 농도와의 상관성 :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는 한국영양학회가 발행하는 ‘식품과 건강 저널’(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근호에 소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