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giene Issue 식약청 HACCP제도 인지도 조사
Hygiene Issue 식약청 HACCP제도 인지도 조사
  • 대한급식신문
  • 승인 2009.04.21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 10명 중 8명 “HACCP제도 모른다”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위해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도입한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제도’. 그러나 소비자 10명 중 8명 이상은 이 제도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는 식품안전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식품안전을 위해 HACCP 지정 업체를 대폭 늘리겠다고 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안전한 먹을거리 생산의 기준으로 불리는 ‘HACCP 제도’ 자체를 모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전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HACCP 제도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18.1%의 소비자만이 ‘HACCP 제도를 알고 있다’고 답했다. 81% 이상인 1,754명은 HACCP을 모르고 있었다. 식약청이 한국소비자연맹(이하 소비자연맹)에 연구를 의뢰해 지난해 6월 20일부터 10일간 전국 만 10세 이상 남녀 2,142명을 대상으로 ‘HACCP 소비자 인지도 조사’를 실시했고 최근 그 결과를 발표했다.더 충격적인 사실은 HACCP 제도를 ‘알고 있다’고 답한 388명 중에서도 34.3%(133명)는 ‘명칭만 알고 있다’고 답해 실질적인 인지도는 더 낮다는 것이다. ‘HACCP’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132명에 불과했다.

◆2007년 대비 HACCP 인지도 4% 상승

이번 식약청의 발표는 그동안 정부가 HACCP 제도를 ‘식품안전의 기준’으로 홍보하고 지정 신청을 적극 유도해온 것에 비해 큰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구매의 기준이 되어야 하는 ‘HACCP 제도’가‘소비자들도 모르고 있는 제도’로 결론이 나면서 업체들도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창업 초기부터 식품 위생을 위해 HACCP 지정을 받고 까다롭게 제품을 관리해온 수산물가공업체 관계자는 “소비자들에게 위생적이고 안전한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HACCP 제도를 도입했는데 대부분의 소비자가 모르고 있다니 정말 황당하다”라며 “HACCP 지정 업체와 그렇지 않은 일반 업체가 똑같이 취급된다면 굳이 비싼 장비를 들여 시설 투자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2007년 인지도 조사 때보다 4% 이상이 증가했다는 것으로 위안을 삼고 있다. 식약청은 “이번 결과는 2005년 9.7%, 2007년 14.3% 보다는 상당히 증가한 수치”라며 “하지만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있어 소비자 인지도 향상을 위해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지도 향상 위해 장기적 교육 프로그램 필요

정부는 2003년 어묵류 등 6개 식품제조·가공업소를 의무적용 대상업소로 지정해 HACCP 도입을 추진해왔다.또한 2008년 4월에는 배추김치까지 의무적용 대상품목으로 지정했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지난해 7월 ‘식품안전종합대책’을 발표해 ‘식품위해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겠다’며 2012년까지HACCP 지정 업체를 식품 생산량의 95%에 해당하는 약 4,000여 개소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금까지 HACCP 제도와 무관했던 축산농가와 양식장 등에도 확대, 적용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1997년 HACCP 제도 적용 후 지금까지 총 496개 업체(2009년 2월 기준)가 HACCP 지정을 받았다. 식품제조가공업소는457개소, 단체급식소는 39개소다.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3년 내에 3,500여 개소를 지정해야 한다. 1년에 1,000개 업체 이상 신청을 받아 인증을 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재원확보나 업체의 참여 독려는 차치하고 소비자 인지도 상승이 더 큰 과제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최종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모르는 제도는 실효성이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방법으로 TV를 통한 공익광고 확대와 지하철 등 대중이용시설에 대한 홍보활동 강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정부는 지난해 TV를 통해 HACCP 제도를 홍보하는 공익광고를 총 33회 실시했고, 올해는 70회로 두 배 이상 늘릴 예정이다.그러나 이런 매스컴을 이용한 홍보는 단기적인 효과는 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인지도 상승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이에 대해 소비자연맹은 “설문조사에서 69.7%의 응답자가 ‘HACCP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며“HACCP 인식의 확대를 위해 가장 필요한 방안은 학생, 교사,일반인 대상 견학 등을 통한 ‘정기적인 HACCP 교육’이다”라고 밝혔다.

◆즉석섭취식품 등 지정 품목 확대 계획 중

한 가지 고무적인 사실은 ‘HACCP 인증 제품’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172명 중 72.5%가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HACCP 제품 신뢰도가 높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학교급식소위원회 활동을 하고 있는 정모 씨는 “학교급식은HACCP 제품을 사용해 그나마 급식 관계자들이 자주 봐왔지만 일반 소비자들은 HACCP 마크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른다”며 “언론매체에서 먹을거리에 대한 안전성 문제만 지적하지 말고 ‘HACCP’ 같은 식품안전 제도에 대한 내용도 자주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HACCP 제도 확대나 인지도 향상과 함께 의무적용 품목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식약청은 식품 관련 학계 등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HACCP 의무적용 찬성’이82.5%로 나타났다. 또한 품목 확대는 81.7%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식약청은 “HACCP 의무적용의 필요성과 타당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설문조사에서 도시락, 김밥 등 즉석섭취식품과 스낵, 비스킷 등 과자류를 추가로 지정하자는 의견의 많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후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 _ 한상헌 기자 hsh@fsnews.co.kr 자료 및 사진_식품의약품안전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