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먹을거리 안전 담보… 유통시스템부터 개선해야
[칼럼] 먹을거리 안전 담보… 유통시스템부터 개선해야
  • 주영래 커뮤니케이션팀장
  • 승인 2018.02.27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영래 CJ프레시웨이 커뮤니케이션팀장

우리나라 국민들의 먹을거리 안전에 대한 관심은 다른 선진국 국민 못지않다. 일례로 해외여행 중 유명한 식당에 들러 식사를 할 때도 식재료의 원산지에 대해 질문하는 사람은 우리나라 사람밖에 없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다.

먹을거리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부터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니즈(needs)가 강해졌고, 자연스럽게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먹을거리 안전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주위를 둘러보면 아직도 축산물이나 수산물 등을 냉동차량이 아닌 일반 특수화물차나 트럭으로 실어 나르거나 신선식품을 손수레나 오토바이로 배송하는 광경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어느 정도 규모가 갖춰진 업체들은 물류센터나 보관창고 등을 운영하기도 하지만 일부 소규모 영세업체들의 경우에는 여전히 낙후된 위생환경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어서 여전히 먹을거리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식자재의 특성상 유통단계에서 쉽게 오염이 될 수 있는 만큼 반드시 식자재는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유통시켜야 한다. 한마디로 정온 물류관리가 가능해야 유통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중소업체들이 현실적으로 많은 비용을 들여 정온 물류관리를 위한 냉동차량을 확보하거나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유통 과정상 식자재의 변질이나 오염으로 인해 언제든 식품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자재는 가급적 유통단계를 최소화하고 단계별 안전성검사를 꼼꼼히 진행해야 위생사고를 차단할 수 있다. 결국 먹을거리의 안전은 산지부터 현장까지 원재료를 관리할 수 있는 유통단계별 안전관리시스템이 확보되어야 가능하다. 이 또한 식품안전을 위한 인프라 투자가 선행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중소업체들이 식품안전을 위한 인프라 투자비용을 지불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가수준의 개입이 요구된다.

식품안전이라는 공공성을 담보하기 위해 유통단계별 안전관리를 위한 인프라가 필요하다. 먼저 1차 생산지 중심의 산지 공동 보관창고와 함께 지역별 거점 식자재 물류센터를 운영해야 한다. 여기에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 식품 유통과정에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식품안전센터도 필요하다. 하지만 앞서 열거한 이 같은 시설들은 중소업체들이 직접 투자하기 어려운 인프라이기 때문에 국가 또는 공공기관에서 설치하고 업체들에게 저가로 임대해주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시설만 있어서도 안된다. 시설을 운영하고 유지시키면서 관리하는 전문 위생관리 인력도 반드시 필요하다. 어떻게 보면 중소업체들이 시설보다 더 어렵게 여기는 부분이기도 하다.

미국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들은 대규모 물류창고나 자체 식품안전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원재료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한 산지 계약재배를 늘리고 거점별 물류센터 구축을 통한 적시적소 배송시스템을 확보해 유통과정에서 위생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먹을거리 문제는 국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다. 그만큼 식자재 유통시스템의 선진화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을 위해 국가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