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밥상의 건강, 우리가 지키려면
[칼럼]밥상의 건강, 우리가 지키려면
  • 정충섭 과장
  • 승인 2018.07.09 18: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충섭 과장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술지원과

“식품이 오늘날처럼 안전했던 적은 없었다. 또한 소비자가 지금보다 더 불안했던 적도 없었다. 그 이유는 불신이다” 

독일 철학자 칼 하이츠 슈타인 뮐러의 말처럼 안전한 먹을거리 생산에 대한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하며 안전함을 추구하고 있지만, 많은 소비자들은 오히려 잔류농약, 원산지 허위표시, GMO의 안전성 논란 등 먹을거리에 대한 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요소들에 점점 민감해지고 있다.

‘몸에 좋은 요리는 좋은 재료에서 나온다’라는 말이 있다. 그래서 좋은 요리를 할 때에는 원산지와 인증마크를 꼼꼼히 따진다. 특히 가족의 건강을 생각하며 먹을거리를 선택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선택할까 고민하기도 한다. 이럴 때 정부나 공신력 있는 단체에서 안정성을 인증한 식품을 구매 할 수 있다면 안전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을 것이다.

정부에서는 ‘친환경농축산물’, ‘농산물우수관리’, ‘지리적표시제’ 등의 농식품 국가인증제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또한 FTA체결로 안전성이 확보된 농산물만이 무역거래가 가능해 FAO(국제식량농업기구),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등의 국제기구와 유럽연합, 미국, 일본, 중국 등 많은 국가들은 안정성 강화를 위해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GAP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농업환경을 지키기 위해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 및 유통단계에서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사전에 관리하는 제도로, 세계 각국에서 자국민 보호를 위해 실시하는 인증제도이다.

우리는 먹을거리를 구매할 때 안전성, 가격, 품질, 원산지, 디자인, 구매자의 리뷰 등 여러 생각과 다양한 비교과정을 거치게 된다. 

같은 가격이라면 더 나은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 시간을 투자하고 정보를 수집해 최종적으로 구매를 결정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발표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16년까지 발생한 식품사고의 발생 원인을 조사한 결과 전체 3926건 중에서 유해미생물이 57.3%(2551건)로 제일 높았다. 반면 농약잔류 등의 화학물질은 0.1%(5건)이었다. 

즉 농약 안전사용 등 안전성 관리만으로는 먹을거리 사고 예방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GAP제도를 통해 농산물의 안전한 생산관리와 소비자 신뢰 제고 및 국제시장에서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농업의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GAP제도는 생산자가 인증기준에 따라 생산과 수확 후 관리의 안정성 확보를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다. 2017년 한국의 GAP인증 농가는 8%인 반면 뉴질랜드는 사과와 키위농가에서 100% 글로벌 GAP인증을 취득해 수출하고 있으며 네덜란드는 과일과 채소농가의 90% 이상이 GAP인증을 받았다.

우리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원한다. 위해(Hazard)와 위험(Risk)은 분명히 작용인자의 차이가 있음에도 이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위해의 정량적 분석에 따른 위험수준 설정이 시급하며 무엇보다 소비자들과의 소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제 GAP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따라서 정부와 생산자는 GAP인증을 받는 데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 이와 같은 GAP인증 확대를 통해 소비자는 품질과 안정성이 보장된 식품을 마음 놓고 구입할 수 있을 것이고, 생산자는 믿고 찾을 수 있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해 소득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