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이야기] 만두
[한식 이야기] 만두
  • 한식진흥원-한국외식정보(주)
  • 승인 2019.08.02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려시대부터 먹어 온 별식

만두는 신의 노여움을 잠잠케 만들었을 정도로 특별한 맛을 자랑하는 아주 오래된 요리이다. 밀가루 반죽을 동그랗게 오리고, 고기와 채소를 섞은 소를 넣어 빚은 만두는 잔칫상 또는 제사상에 올리거나 겨울철에 즐겨 먹었던 별식이었다. 만두를 빚어서 장국에 넣고 끓인 것은 만둣국, 쪄서 국물 없이 먹는 것은 찐만두, 차게 식힌 장국에 넣은 것은 편수라고 불린다.

■ 제갈량의 기지로 탄생한 만두
만두는 원래 중국음식으로 제갈량에 의해 생겼다고 한다. 제갈량이 남만 정벌을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노수라는 강가에서 심한 파도와 바람으로 인해 발이 묶이고 말았다. 사람들은 노수에는 황신이라는 신이 사는데 그 신이 노한 것이니 마흔아홉 사람의 목을 베어 강에 던져야 무사히 강을 건널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억울한 생명을 죽일 수 없었던 제갈량은 밀가루로 사람의 머리 모양을 만들고 그 안을 소와 양의 고기로 채워 황신에게 제물로 바쳤다.

얼마 후 노수는 잠잠해졌는데 남만인들은 제갈량이 바친 음식 때문에 잠잠해진 것으로 생각하여 ‘기만하기 위한 머리’라는 뜻으로 ‘만두(饅頭)’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사람 머리 모양의 만두가 북방으로 전해져 오늘날 중국의 대표 음식 중 하나가 되었고,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전해져 세 나라 국민 모두가 즐기는 별미 음식이 되었다.

■ 고려시대 사람들도 열광한 만두의 맛
한식에서 만두의 기원을 이야기할 때는 고려시대 ‘쌍화점’이라는 속요가 자주 등장한다. 이 속요는 당시 위구르인(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민족으로 현재 중국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와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이 고려에 들어와 만두를 파는 ‘상화가게’를 열었고 고려 사람들이 즐겨 먹었음을 알 수 있는 노래로, 담긴 뜻이 퍽 노골적이다.

가사를 풀이하면 ‘어떤 여인이 만두가게에 만두를 사러갔는데 만두가게 주인인 몽골인이 손을 잡더라. 이 소문이 밖에 나돌면 가게의 꼬마 심부름꾼 네가 퍼뜨린 것으로 알겠다. 소문이 나면 다른 여인들도 그 자리에 가겠다고 할 게 아니냐. 거기 잔 곳은 참으로 아늑하고 무성한 곳이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 한여름의 별미, 편수
규아상이라고 불리는 편수는 원래 개성지방에서 빚어 먹던 여름 만두다. 밀가루를 반죽해서 얇게 밀어 정사각형 모양으로 썬 다음 고기와 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네 귀퉁이를 서로 붙여서 찐 후 차게 식힌 장국에 넣어 먹는다. 물 위에 조각이 떠 있는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편수(片水)라는 이름이 붙었다.

호박이나 오이를 소금에 절였다가 물기를 꼭 짜고, 볶은 소를 넣은 만두로 아삭아삭 씹히는 맛이 좋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