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산업 그린뉴딜의 핵심 ‘자원순환’
농식품산업 그린뉴딜의 핵심 ‘자원순환’
  • 서양옥 기자
  • 승인 2021.11.02 0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연구원, ‘농업과 식품산업의 미래, 그린뉴딜’ 발간
농업 분야 탄소 중립, 순환식품시스템 관점에서 고도화해야

[대한급식신문=서양옥 기자]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한국형 뉴딜정책이 농촌의 잠재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과 함께 자원순환, 녹색일자리 창출 등 농식품산업의 여건을 고려한 그린뉴딜 도입 전략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돼 주목을 받고 있다. 

경기연구원(원장 이한주)은 ‘농업과 식품산업의 미래, 그린뉴딜’을 발간하고 지속가능한 농식품산업을 위한 그린뉴딜 실행계획을 제안했다. 여기서 그린뉴딜은 새로운 사회적 합의로써 기후변화 대응을 통해 미래 환경ㆍ경제ㆍ사회 부문의 변화 선도를 지향점으로 설정하고 있다.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농업과 식품산업의 미래, 그린뉴딜’

앞서 정부는 지난 2020년 7월 한국형 그린뉴딜 전략을 발표하고, 한국판 뉴딜 정책의 핵심 방향으로 친환경ㆍ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제시한 바있다.

그러나 한국의 그린뉴딜 정책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농업 그리고 자연과 쉼의 공간으로 주목받는 농촌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즉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산물 생산의 안정성과 거주공간으로써 농촌의 발전 잠재력을 고려할 만큼 포괄적이지 않다고 경기연구원은 분석했다. 

따라서 기후변화 시대에 농업ㆍ농촌의 안정적인 먹거리 공급과 녹색산업으로써 농업의 성장동력 확보를 목표로 둔 그린뉴딜 정책에서 농업에 대한 관심은 중요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제시된 그린뉴딜은 농업의 산업적 가치와 공익적 가치 창출 확대 등 농업의 구조적 불평등에 따른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으로 기대하고 있다.

먼저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는 농식품산업 그린뉴딜의 핵심을 ‘자원순환’으로 꼽고, 지속가능한 식품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자원순환은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재활용을 통해 자원의 선순환을 촉진하는 순환경제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또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과 수요를 보장해 ▲생산 ▲가공 ▲유통 ▲소비 ▲재활용의 전 단계를 순환식품 시스템으로 발전시키면 탄소 저감기술 효과도 극대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농업 및 식품산업의 에너지와 수자원 융합을 통한 지역 단위 순환형 그린 인프라 구축도 관건이다. 식품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음식폐기물은 소규모 분산형 그린 인프라의 에너지 발전원으로 활용되고, 지역주민들에게도 재생에너지를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이밖에도 ▲농식품산업 그린뉴딜 정책의 영향평가를 통한 단계적 실행계획 수립 ▲온실가스 저감기술 방법론 개발 및 보조금 체계 개편 ▲녹색일자리 창출과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등 세부 내용도 제안했다.

김용준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탄소 배출 저감 범위를 농식품산업 전체로 확대하고 목표치를 상향 조정할 경우 영세기업을 중심으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농식품산업의 여건을 고려한 탄소 감축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현실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의 농축수산 분야 탄소 중립 방안을 순환식품시스템 관점에서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