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음식이 주요식사, 영양소의 불균형 섭취로 이어져” 분석
[대한급식신문=김나운 기자]코로나-19 유행 이후 식이보충제 섭취와 비만은 늘고 외식은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외식을 대신해 배달음식 소비가 크게 늘면서 부정적인 영향이 매우 컸다.
부경대 식품영양학과 최진경 교수가 코로나 이전(2019년)과 이후(2020년)에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성인 남녀 6845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전후의 식생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성인의 식생활 행태 조사: 식이보충제 섭취, 가구형태와 COVID-19을 중심으로)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먼저 코로나 이후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20년 식이보충제 섭취율은 전년(47.2%)보다 5%P 이상 높은 52.8%를 기록했다.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외식 횟수는 크게 줄었다. 주 1회 이상 외식 비율이 2020년 기준 45.3%로, 2019년(54.7%)보다 10% 가까이 감소했다.
최 교수는 논문에서 “코로나 이후 가정에서 배달음식을 먹는 사람은 증가했다”며 “자유로운 장보기가 제한되면서 식재료의 다양성 부족으로 인해 영양소 섭취의 불균형이 많았다”고 분석했다.
비만율(체질량지수 25 이상)은 코로나 이후 53%로, 코로나 이전(47%)보다 6%P 증가했다. 1년 동안 체중이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도 2020년엔 53.4%로, 전년(46.6%)보다 높아졌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확찐자’가 늘어났다는 우스갯소리가 근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셈이다.
코로나와 상관없이 여성의 식이보충제 섭취율은 남성보다 높았다. 이는 여성이 건강에 관심이 더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식이보충제 섭취율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학력ㆍ소득이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