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Report] “수산물도 정부인증 있다는 사실 아세요?”
[special Report] “수산물도 정부인증 있다는 사실 아세요?”
  • 대한급식신문
  • 승인 2010.01.10 09: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 인식 부족으로 신청 소극적…홍보강화 등 정책 지원 필요정부인증 수산물 현황

 

▲ 친환경수산물 인증대상 품목은 총 7종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친환경 인증을 받은 품목은 전남 진도와 장흥에서 생산되는 ‘김’이 전부다. 사진은 수산물가공공장에서 냉동조기를 가공하는 모습.

 

단체급식소에서 식재료로 많이 쓰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수산물이다. 급식에 육류는 빠져도 수산물 한가지는 꼭 올라갈 뿐 아니라 메뉴의 주재료가 아니더라도 육수를 낼 때 멸치나 다시마 같은 수산물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우리 식단에서 빼놓을 수 없는 수산물도 농산물처럼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정부인증 제품들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본지는 수산물에 대한 품질인증제도 현황과 정부의 친환경수산물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올해 연근해의 수산물 중 꽃게는 180.7%, 조기는 111.8%, 고등어는 102% 생산량이 늘었다. 원양산 명태도 작년 대비153.3% 증가했다.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농산물에 이어 수산물도 풍어를 예상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는 꽃게, 조기, 고등어, 명태, 삼치 등 6개 주요 어종의 생산이 작년보다 늘었다”며 “2년 연속 태풍이나 적조 피해가 없어 작황이 좋다”고 말했다. 풍년을 맞은 수산물, 과연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믿고 먹을 수 있을까?

친환경인증 받은 수산물 ‘김’ 유일

 

최근 충청남도는 수산물의 친환경인증제를 본격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충남 북서부 해안에 있는 가로림만 해역의37개 굴 양식장(서산 28개, 태안 9개) 178ha를 대상으로 친환경수산물 인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충남도가 추진 중인 친환경수산물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적합성물질 등을 사용하지 않거나, 동물용 의약품 등의 사용을 최소화해 생산된 수산물 또는 이를 원료로 해 위생적으로 가공한식품을 말한다.인증대상 품목은 넙치, 굴, 홍합, 김, 미역, 톳, 무지개송어 등모두 7종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식 친환경수산물로 인증 받은 품목은 김 하나뿐이다.

그것도 전라남도 진도와 장흥에서 생산되는 것이 전부다. 나머지 품목은 신청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나마 충청남도가 도에서 생산하는 굴에 대해 친환경수산물인증을 추진하는 것이 유일하다. 친환경수산물 인증을 받기 위해선 종묘 도입단계부터 출하까지 양식장 및 생산 기자재 위생관리, 안전기준에 적합한 어장수질, 양식물 유해화학물질 잔류검사 등의 평가항목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복잡한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 때문인지 지자체나어민들은 친환경인증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수산물은 농산물과 달리 종묘만 뿌려 놓으면 알아서 자라기 때문에 굳이 친환경이라는 개념이 크게 적용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생산자들의 입장은 달랐다. 수산업협동조합 관계자는“소비자들이 친환경수산물에 대한 인식이 안 돼 있는데 생산자들이 친환경 프리미엄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겠는가”라며 “정부가 농산물처럼 수산물 친환경인증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정책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수산물도 지리적표시·품질인증제 적용

수산물에 대한 정부인증제도는 더 있다. 수산물에도 농산물과 동일하게 지리적표시제도가 적용되고 있는 것.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에 따르면 7월 현재 수산물지리적표시에 등록된 제품은 총 7개다. 제58호까지 지정돼 있는 농산물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이와 함께 수산물품질관리법에 의해 정부가 인증하는 품질인증제품도 있다.
지난 1999년 처음 시행된 수산물 품질인증제도의 대상품목은 수산물, 수산특산물, 수산전통식품(젓갈 등)이다.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에 따르면 3/4분기 품질인증을 받은 업체는 208개 업체로 인증품목수는 58개<표 1>다. 수산물품질검사원 관계자는 “품질인증의 해당 품목은 많지만 인증 신청 업체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라며 “수산물 관련 업체들의 경우 대부분 어민이 직접 운영하는 영세한 곳이 많아 품질인증 신청에 소극적”이라고 말했다.

◆ 정부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 미흡

문제는 농산물에 비해 수산물에 대한 인증사업이 뒤처져 있다는 것이다. 친환경수산물인증제도는 시행된 지 불과 1년밖에 되지 않는다.먹을거리 안전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던 지난해 8월처음 시행됐기 때문에 미흡할 수밖에 없다고는 하지만 친환경농산물이 올해 전체 농산물 생산량의 10%를 넘은 것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너무 크다. 친환경농산물의 경우 2001년 시행 첫해엔 1,128건이 인증을 받았고 지난해엔 무려 1만9,677건이 인증을 받았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친환경수산물인증제도 확대를 위해 마른김, 미역, 감미역 등 인증대상품목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인증을 받기 위한 해당 지자체와 생산업체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황에서 품목만 늘리고 있는 것이다.때문에 농산물과의 구색을 맞추기 위한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의 예산지원이 미흡한 점도 문제로 지목되고 있다. 올해 친환경농업육성을 위해 정부가 지원한 예산1,658억원과 대조적으로 친환경어업지원 예산은 1/4에 불과한415억원이다.

소비자 인식부족도 활성화 저해

정부의 수산물 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부족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이모 영양교사는 “품질인증을 받은수산물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며 “농산물처럼 안전성을 담보할 만한 제도가 수산물에도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알려 믿고 구입할 수 있도록 홍보를 많이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품질인증제품은 원재료에서부터 생산 제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정부가 인증하는 만큼소비자가 믿고 구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한상헌 기자 hsh@fs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