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P농산물, 학교급식 공급확대가 최우선 과제”
“GAP농산물, 학교급식 공급확대가 최우선 과제”
  • 이지연 기자
  • 승인 2010.08.23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AP·이력관리제도 전문가 워크숍

산지와 소비자간 연계 강화
수요창출 위한 교육 및 홍보 앞장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달 22·23일 양일간 홍천대명리조트에서‘GAP·이력관리제도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샵은 농식품부 안전위생과가 주최, (재)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가 주관했다. 최대휴 농식품부 안전위생과장은 환영사에서 “농산물우수관리(GAP)제도와 농산물이력관리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관계자들의 토론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자리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 편집자 주 -

 

◆ 생산자는“난해” 소비자는 “몰라”
GAP(농산물우수관리)제도는 지난 2006년 국내에 도입됐다. 올해 6월 기준으로 총 3만 농가가 인증을 받았으며 인증기관 43개, 관리시설 497개소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제도의 활성화가 더디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GAP활성화 저해 요인으로는 첫째 소비자 인식이 낮아 수요가 적기 때문에 자연스레 농업인들의 관심이 부족하다. GAP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는 20%가 채 되지 않는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또한 인증농산물이 전체의 약 3% 수준으로 벼 및 과수류에 편중되어 생산량에 한계가 있는 점도 GAP 활성화의 걸림돌이다.
김봉회 안전위생과 사무관은 “무엇보다 산지와 소비지 간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대형유통업체 공급물량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홍보를 통해 소비자들이 먼저 찾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까다로운 인증심사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GAP의 경우 매년 재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에 따른 경제적·절차적 부담이 농가에 고스란히 전해진다. 인증을 대행하는 기관들 역시 어려운 사정은 마찬가지. 낮은 인증수수료와 안전성검사비용 등으로 경영난을 앓고 있다.
김 사무관은 “각 주체마다 입장차가 확연해 의견을 조율하고 정책을 개선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GAP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행정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개선의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GAP농산물 학교급식부터 확대
금번 워크샵을 통해 농식품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시행할 GAP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GAP 인증농산물 수요창출을 위한 교육·홍보 강화와 함께 소비 확대방안 강구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학태 녹색시민연대식품연구소장은 “일본은 요즘 가정에서의 채소 소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반면 급식과 외식 등을 중심으로 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농가들은 업소용 상품의 품질과 규격 등에 세밀한 관심을 기울이는 등 소비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또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로 움직이고 있으므로 업소용 수요의 특성을 감안한 생산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농식품부는 학교급식 공급확대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김봉회 안전위생과 사무관은 “대량소비처를 확보하기에 학교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다”며 “학교급식 공급확대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에 학교급식법 시행규칙 및 각 지자체의 급식조례 개정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와함께 김 사무관은 “교장, 교감, 영양(교)사 등 관계자들을 위한 교육·홍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GAP농산물 급식 시범학교 지정운영을 교육과학기술부와 협의 중에 있으며 시범학교는 추후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장관상 등의 시상을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 밖에도 현장위주의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GAP생산자조직 육성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워크샵에 참석한 정덕화 경상대학교 대학원장은 “GAP의 경우 많은 기관이 함께 만들어가야 하는 제도”라며 “무엇보다 정책을 입안하는 기관들이 인식을 같이 해야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정 원장은 “제도중심의 교육보다 정책 원리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