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급식신문=김나운 기자] 평소에 소화가 잘 되지 않아 답답한 증상을 반복적으로 겪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검사를 해봐도 아무이상이 없는 결과를 얻기도 한다. 이처럼 개선되지 않는 소화불량의 경우 한의학에서는 위장에 담(痰)이 쌓인 경우로 보고 주목하고 있다.

즉 인체 내 체액, 혈액, 림프액, 소화액, 수분 등의 대사 장애에 의해 담음이 발생하고, 이것이 위장에 쌓이는 경우 염증이나 종양 등 별다른 기질적 원인 없이도 다양한 위장장애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신기율한의원 김배수 원장은 “담음은 인체의 혈액순환과 수분대사를 방해하는 일종의 수독(水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담음이 위장에 쌓이게(積)되면 평소 소화가 되지 않아 울렁이는 느낌, 상복부가 막힌 것 같은 느낌, 잦은 미식거림과 구역감, 위장의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역류하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때 더 나쁜 상태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초기에 적절한 관리에 임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에 따라 어지럼증이나 두통, 눈 주위 통증, 근육통, 각종 피부 트러블 등의 증상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담이 쌓여있는 위장과 식도 대장 소장 간 등 곡식이 지나는 통로와 그와 관련된 장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전체 소화기관을 다스리는 한약처방 등의 치료로 담음을 제거하고, 위장자율신경계 불균형 개선과 신체전반의 기운 정상화 등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 원장은 또 “위장근육과 기능 활성화를 돕는 추나요법이나 필요시 위장기운 상승과 기혈순환 및 소화기능회복 등을 위한 세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며 "담음이 위장 벽에 침투하면 위장이 뻣뻣하게 굳어지는 경우 마치 기계에 녹이 슨 것과 같이 기능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게 되고, 위장병 증상은 물론 전신이 불편해질 수 있기 때문에 만성적인 소화불량 증상을 가볍게 보지 말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