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식중독 관리 어떻게 하고 있나 여름철시한폭탄‘식중독’IT가잡는다
정부 식중독 관리 어떻게 하고 있나 여름철시한폭탄‘식중독’IT가잡는다
  • 대한급식신문
  • 승인 2008.08.13 15: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면서 식중독지수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식품의약품 안전청(식약청) 발표자료에 따르면 인구100만명당 식중독환자수는 1996년 60.6명에서 2007년 12월 현재201명으로 증가했다.발생 건 수?>


식중독은 미생물 혹은 화학물질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은후 단시간내에 배가 아프면서 구토, 설사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통칭한다. 철저히 위생관리한다 해도 100% 완벽하게 예방할수없는 것이 바로 식중독이다. 언제어디서 터질지모르는 시한 폭탄과도 같다.
식중독은 단시간에 확산되는 질환이라 빠른 보고와 역학조사를 통해 원인을 찾아내고 유해물질이 더이상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초동대처가 매우 중요하다. 2006년 ‘급식대란’으로 불릴정도로 급식업계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킨 학교급식위탁업체의 식중독 사건은 순식간에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2006년 단체급식소에서발생한 93건의 식중독사건 중학교 위탁급식업체에서 일어난 건수는 46건으로 직영급식(24건)에 비해 두배에 가까운발생률을 보였다. 또한 환자수도 4998명으로직영(1994명)에 비해 두배가 넘게 나타났다.

인터넷 보고체계 구축

정부는 해를 거듭할수록 늘고있는 식중독발생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2007년 2월부터 ‘식중독보고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기존엔 식중독환자가 발생해 관할 보건소에 접수되면 보건소에서 지자체로, 지자체는 정부기관으로 보고, 최종 식양청에서 총괄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돼왔다.
그러나 이런 불필요한 단계를 거치지 않고 보건소에서 식약청으로 직접 보고되는‘식중독 보고관리시스템’이 새롭게 운영되고 있다. IT 강국답게 인터넷을 이용한 신속한 보고 체계를구축한것. 또한 작년9월 식약청내에 식중독예방관리팀을 새롭게 신설해 전국의식중독 발생 현황을 신속히 파악, 대처하고 사전예방을 위한 교육활동을 꾸준히 벌이고 있다.
손문기 식약청 식중독예방 관리팀장은 “식중독보고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국 어느 곳에서 어떤 경로에 의해, 어떤 원인으로 몇 명의 식중독환자가 발생했는지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단체급식소의 경우 식자재납품업체의 납품경로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대형 식중독발생 환자가 절반이하로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학교식중독조기경보시스템가동

실제로 2006년 식중독 발생 건수는 256건에 1만83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그러나 전산시스템을 통해 신속한 보고와관리로 인해 2007년 무려 510건의 식중독사건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오히려 줄어든 9686명으로 나타났다. 단체급식소나 대형 접객업소에는 식중독 예방관리가 필수요건이다. 단 1건의발생으로도 감염환자는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기때문. 특히 저항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이용하는 학교급식의 경우 식중독에 취약하기때문에 사전위생관리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식약청에서는 올 3월부터 ‘학교식중독 조기경보 시스템’을 운영하고있다. 이 시스템은 학교와 계약된 급식관련업체 및 연관학교 현황을 한눈에 파악해 학교에서 식중독 환자발생이 확산될 우려가 있을 경우, 담당교사에게 SMS 경보를 알리는 식중독사고의 확산방지와 사전예방을 위한 관리 시스템이다.
전국 각 학교영양교사는 학교중독 조기경보시스템(secm. kfda.go.kr)에 접속해 식자재를 공급하는 급식관련 업체를 등록하고, 식중독 발생시 시스템에 들어가 핫라인을 이용해 보고하게 된다. 그렇게되면 이학교와 거래하는 업체와 동일한 업체로부터 식자재를 공급받는 인근 타 학교의 담당교사들에게 SMS를 이용해 조기경보를 내리게 된다. 경보를 수신한 담당자는 업체로부터 식자재공급 중단 및 그 날 들여온 식자재 검수, 위생관리강화등을 통해 2차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일선 학교에서도 조기 경보시스템의 운영에 대해 반기는 분위기다. 안영순 안산해양초등학교 영양교사는 “전국 학교에서 일어나는 식중 독 발생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이 점이 많다”며 이와 함께 “식자재 공급업체의 현황 파악과 학교급식업체 선정시계약업체의 인·허 가는 물론 식중독등 각 종 식품관련 사고로 인해 받은 행정처분 정보도 확인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한 “HACCP 지정업소 및 적용품목 정보도 함께 제공받아 우수한 업체를 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것 같다”고 덧 붙였다. 이 시스템은 현재 시행초기 단계라 담당자들의 활용도가 떨어져 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절실하다.

군과 식중독 정보교류 어려워

식중독보고 관리시스템이나 학교 식중독 조기 경보시스템과 같은 체계적인 경보시스템을 운영해도 허점은 있다. 65만명이 이용하는 군·경과 3만명의 교정시설(교도소)의 단체급식에 대해서는 식중독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국방부가식중독예방 관리를 하고있지만 민간과의 정보 교류가 되지 않아 식중독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학교에 식자재를 공급하는 업체의 상당수가 군대나 경찰에도 동일하게 공급한다. 때문에 군대에서 식중독이 발생했을 경우 학교로 식중독 확산을 막을길이 없다. 이에 대해 식약청 관계자는“국방부와 협조체계를 구축하고는 있지만 보안문제가 걸려 있기때문에쉽지 않다”며 “이 문제에 대해 해결방안을 마련할계획”이라고 밝혔다.

글 _ 한상헌 기자 hsh@chosun.com 사진 _ 농림수산식품부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