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손가락' 소규모 유치원급식, 대안은 뭘까
'아픈 손가락' 소규모 유치원급식, 대안은 뭘까
  • 김기연 기자
  • 승인 2023.09.11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부, 3개 지역 선정 ‘유치원급식 협력체계 구축 지원사업’ 추진
현재 교육지원청 내 영양교사 배치만으론 세밀한 급식 관리 어려워

[대한급식신문=김기연 기자] 급식관리 ‘사각지대’로 인식됐던 소규모 사립유치원급식이 조금씩 체계를 갖춰가고 있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립유치원의 급식을 관리하는 영양교사 배치가 이뤄졌음에도 인원 등의 한계로 효율적인 급식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

일각에서는 영·유아급식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이하 센터)를 활용하는 방안도 내놓고 있으나 궁극적인 대안이 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이주호)는 지난 7월 교육청이 유치원급식의 질 개선을 지원·관리해 나갈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위해 특별교부금 사업으로 ‘유치원급식 협력체계 구축 지원사업(이하 지원사업)’을 공모했다. 한국교육환경보호원(원장 조명연)이 주관한 이번 사업에는 모두 3개 지역이 선정돼 각각 2500만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올해 말까지 사업이 진행된다.

주목받는 유치원급식 지원 사업

최종 선정된 지역은 경상북도·대전광역시·광주광역시로, 해당 지역 3개 교육청은 각 지역에서 운영되는 경산시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센터장 이경아), 대전 서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센터장 김정현), 광주 관내 5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와 함께 유치원 영양·식생활교육 수업자료를 개발한다.

소규모 사립유치원급식 관리의 대안 중 하나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사진은 세종시 해밀유치원에서 실시한 음식점 놀이 모습.
소규모 사립유치원급식 관리의 대안 중 하나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사진은 세종시 해밀유치원에서 실시한 음식점 놀이 모습.

이번 사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교육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센터를 사립유치원급식 관리에 ‘활용’하는 첫 사례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21년 1월 개정된 학교급식법이 유치원에 적용되면서 원아 100인 미만 소규모 사립유치원의 급식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는 교육계에 큰 과제이기도 했다.

개정된 학교급식법에 따라 원아 50인 미만 유치원은 법 적용에서 제외됐고, 영양사를 의무 고용하는 유치원 기준이 원아 100인 이상이었기 때문에 원아 50~100인 미만 유치원은 급식관리 전문가인 영양사 없이 급식을 운영해야 했기 때문이다. 다만 국공립유치원은 원아 수에 상관없이 영양사를 의무 고용하도록 되어 있어 제일 문제가 된 시설은 사립유치원이었다.

이래저래 어려운 소규모 유치원

이에 따라 지난 2년간 전국 17개 교육청은 교육지원청 단위에 전담 영양교사를 평균 1~2명씩 배치해 소규모 사립유치원급식을 지원해왔다. 이들 전담 영양교사들은 그간 센터가 진행하던 공통식단 제공과 유치원 방문 관리 등을 해왔지만, 효과적인 관리가 이뤄지기는 어려웠다. 영양교사 1명이 관리해야 할 유치원 수가 너무 많고, 지역별로 편차도 컸기 때문.

지역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한 달에 1회 이상 유치원을 방문하도록 지침을 정했는데 방문할 유치원이 많다 보니 전담 영양교사가 정기 방문하는 것조차 벅차 세밀한 점검과 컨설팅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인력을 더 배치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이런 상황은 전국이 유사했다. 각 시·도교육청은 유치원급식 기본계획과 영양량 제공기준, 운영지침 등을 만들어 제공하면서 조리원 인건비도 지원했다.

하지만 급식 운영을 체계적으로 해오지 않았던 사립유치원은 급식비 중 식품비 의무사용기준 조차 맞추지 못했고, 또 이를 제대로 관리하기 어려운 곳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안 없다면 센터 활용 고려해야

이런 상황에서 이번에 시도되는 지원사업은 유치원급식 관리에 센터를 적극 활용하는 첫 사례여서 더 주목을 받고 있다. 센터는 2009년 첫 설립된 이후 15년간 영·유아급식 관리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 폭넓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기도 하다.

이번 지원사업의 취지는 센터가 보유한 폭넓은 자료를 바탕으로 유치원생을 위한 영양·식생활 교재를 만들어보자는 것이다. 특히 센터 입장에서도 식품위생법보다 훨씬 세밀하고 강도 높은 기준이 적용되는 학교급식의 체계를 배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지원사업을 계기로 오랫동안 사각지대였던 유치원급식 관리의 체계화를 위해 센터 활용도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특히 현재 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교육지원청 전담 영양교사의 업무량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는 것이다.

대전지역의 한 영양교사는 “이미 완성 단계인 학교급식에 비해 유치원급식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며 “교육지원청 내 담당 영양교사 확대가 필요한데 예산 등의 문제로 당장 이뤄지기 어렵다면 그 대안으로 센터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