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효자'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한 가림막
K-방역 '효자'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한 가림막
  • 안유신 기자
  • 승인 2023.10.27 12: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엔데믹 후 플라스틱 가림막 1185.5t 수거에 그쳐
우원식 의원 “재활용 쉽지 않고 소각·매립, 대책 마련 시급”

[대한급식신문=안유신 기자] 전세계를 덮친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단체급식소 방역의 ‘효자’ 중 하나였던 비말 차단용 플라스틱 가림막이 엔데믹 상황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단체급식소뿐만 아니라 학교와 학원, 외식업소, 카페, 대형 교육장 등에서도 폭넓게 사용됐던 가림막이지만 더 이상 사용처가 무의미한 지금, 서둘러 처리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는다.

우원식 국회의원.
우원식 국회의원.

우원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사진)이 환경부(장관 한화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5월부터 9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수거된 코로나19 플라스틱 폐가림막은 총 1158.5t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종식 선언이 내려진 5월 이후부터 가림막이 수거되기 시작한 것을 감안하면 5월부터 본격적인 수거가 시작됐다고 보는 분석이 우세하다. 환경부의 통계를 보면, 5월에는 3.7t이 수거된 반면 6~8월에 각각 258t, 426.1t, 378.9t이 수거되면서 수거율이 높은 것처럼 보이지만 지난 9월에는 91.8t에 그쳤다. 주로 급식소, 회의실, 교육장 등의 방역용으로 설치됐던 플라스틱 재질의 가림막은 코로나19가 종식되면서 큰 부피 때문에 보관이 쉽지 않은데다 사용처도 한정돼 ‘처치 곤란’인 경우가 많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대부분 종이 재질의 가림막을 사용해 처리가 어렵지 않았지만, 팬데믹이 길어지면서 내구성 문제로 플라스틱 재질의 가림막으로 교체되면서 상황이 달라진 것. 이로 인해 버리기가 쉽지 않은 탓에 그냥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대형 쓰레기와 함께 회수된 폐가림막을 소각해버리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환경부도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에 따라 플라스틱 폐가림막을 회수·재활용하고 있지만, 정작 회수율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제출한 자료를 보면 플라스틱 재질 폐가림막 발생 추정량은 약 1000만 개다. 1개가 약 1kg 정도 무게인 것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폐가림막은 약 1만t 규모로 추정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회수된 폐가림막이 1185.5t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회수율은 10%가량으로 추정된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공단이 급식실과 교실 등 플라스틱 폐가림막을 주로 사용했던 학교를 대상으로 각 지역 시·도교육청과 함께 플라스틱 폐가림막 회수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성과가 높지 않은 편이다. 다행히 플라스틱 폐가림막을 모범적으로 활용하고 처리한 사례가 있어 희망도 보인다. 한 재활용 수거·처리업체가 가림막들을 수거해 분리와 분쇄, 알갱이로 압출 등을 거쳐 재활용하거나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이외에도 대형위탁급식업체 중 하나인 CJ프레시웨이(대표이사 정성필)는 국립환경공단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아이스팩과 플라스틱 가림막 등에 대한 자원순환 체계를 구축·운영해오고 있다. 그 결과 지난 6월 환경부로부터 생활폐기물 관리업무 분야 유공 환경부 장관 표창도 수상했다.

우 의원은 “코로나19 방역지침이 완화되면서 플라스틱 페가림막을 비롯한 각종 방역 물품의 처리 문제가 커지고 있다”며 “플라스틱 폐가림막 소재는 80%가 아크릴이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음에도 선별작업이 어려워 자원 낭비와 환경파괴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환경부 차원의 수거·재활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