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급식신문=김선주 기자] 구강건조증을 방치하면 구내염이나 혀 통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단순히 입이 마르는 증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구강질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환자는 입마름을 비롯한 각종 증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찾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오랫동안 구강건조를 방치할 경우 소화가 어려워지거나 구취, 점막 위축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또한 이후에는 혀나 잇몸 염증 등 구강 점막의 염증이 나타나게 되고, 혀가 따갑고 화끈거리며 아픈 구강작열감증후군 등 혀 통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타액 분비량이 정상 이하인 경우 나타나는 이러한 증상은 오래 방치할수록 더 심해질 수 있다.
위강한의원 천안점 김병주 원장은 “구강건조증 환자는 구강점막이 위축되면서 가장자리부터 염증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점막이 갈라지고, 서로 간의 윤활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특히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거나 발음이 어려워지기도 하는데, 물을 자주 마셔도 이런 상태가 낫지 않을 땐 내부 원인을 찾아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구강건조증이나 구내염 원인은 스트레스, 과로, 면역력 저하, 바이러스, 비타민 부족 등 다양한 것들이 꼽힌다”며 “증상이 있을 때 염증을 낫게 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쉽게 재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인을 해소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김 원장은 또 “자율신경계의 총화인 위장관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심화를 해소하는 치료탕약 처방이나 코에 쌓인 담을 배출하는 처방이 요구되기도 하는데, 자율신경을 비롯한 신경계통 문제로 침 분비가 감소한 경우 구강건조증과 혀 통증이 발생하는 케이스가 많아 주로 이 같은 처방이 쓰이는 것”이라며 “침분비 촉진과 위장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약침이나 비강점막 치료, 구강건조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음식요법, 구강관리, 운동 등 생활요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그는 “일시적인 스트레스나 과로 등에 따른 입안 염증은 누구나 겪을 수 있으며,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호전된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2주이상 잦은 발병과 염증이 많으면서 크고 깊게 점점 나빠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발병 원인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