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 위험 16% 감소하고, 복부비만 억제도 효과적”
[대한급식신문=김나운 기자] 여성이 녹차를 즐겨 마시면 대사증후군 위험이 16% 이상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특히 복부비만을 억제하는 것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중앙대 식품영양학과 신상아 교수팀이 질병관리청의 2012∼2016년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 사업(KoGES)에 참여한 중년 이상(40∼79세) 남녀 4만4611명(남 1만3549명, 여 3만1062명)을 대상으로 녹차 섭취가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확인됐다.

이 연구결과(한국 성인의 녹차 섭취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사업 자료를 기반으로)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공동 출간하는 학술지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녹차를 하루 한 잔 이상 마시는 여성은 녹차를 마시지 않는 여성보다 복부비만 위험이 16%, 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이 15%,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위험이 18%, 고혈압 위험이 19%, 고혈당증 위험이 13% 낮았다.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 53세 미만과 53세 이상 여성에서 녹차를 즐겨 마시면, 녹차를 마시지 않은 여성에 비해 각각 22%·1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팀은 논문에서 “여성의 녹차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낮아졌다”며 “남성은 녹차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5대 진단 기준 중 복부비만·고중성지방·저HDL-콜레스테롤 등 세 가지 위험이 감소한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녹차는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차나무의 잎을 우려 만든 음료다.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주로 소비된다. 녹차의 ‘떫은맛’ 성분인 카테킨은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의 일종이다. 녹차 카테킨의 주성분은 EGCG다. EGCG는 항산화·콜레스테롤 저하·비만 예방·항암·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등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